기존 방식의 H-모드는 플라즈마 외부 경계선에서 불안정성이 발생해 플라즈마를 잘 제어하지 못했음.
근데 이번에 새로 발견한 FIRE 모드에서는 처음 가열시 발생한 높은 에너지의 입자들이 플라즈마 내부의 난류를 안정화시켜 오히려 온도를 스스로 더 높이고 있었음 ㄷㄷ
기존 방식과 새로 발견한 방식의 급격한 온도차 ㄷㄷ
그래서 이렇게 발견한 기술로 뭘 할 거냐고?
물 끓이기
기존 방식의 H-모드는 플라즈마 외부 경계선에서 불안정성이 발생해 플라즈마를 잘 제어하지 못했음.
근데 이번에 새로 발견한 FIRE 모드에서는 처음 가열시 발생한 높은 에너지의 입자들이 플라즈마 내부의 난류를 안정화시켜 오히려 온도를 스스로 더 높이고 있었음 ㄷㄷ
기존 방식과 새로 발견한 방식의 급격한 온도차 ㄷㄷ
그래서 이렇게 발견한 기술로 뭘 할 거냐고?
물 끓이기
어이 핵씨 가서 물이나 끓여
어허! 물을 '더 효율적으로' 끓일 수 있다구!!
터빈: 돌려.
인간: 네?
터빈: 돌리라고.
물을 끓여서 터빈을 돌린다
어이 핵씨 가서 물이나 끓여
(완벽하게 이해했어 짤)
역시 물은 끓여먹어야지
어허! 물을 '더 효율적으로' 끓일 수 있다구!!
원래 발전=물끓이기 이긴 하지 몇몇 방식은 제외하고
터빈: 돌려.
인간: 네?
터빈: 돌리라고.
물을 끓여서 터빈을 돌린다
우효 컵라면 익히기 1초컷이냐구
2030년에 오픈해요! 많이 와주세요!
핵융합찜질방
플라즈마에서 전기 바로 뽑아낼순읎나....
물체를 가열했을때 기체 다음 상태가 플라즈마라서 거기서는 전기 못 뽑아냄.
효율이 물 끓여서 터빈 돌리는거 보다 훨씬 구려서 그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