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당 1,000억장 찍는 기술이 이미 8년전에 실용화됨
그럼 뭐를 찍을수있다?
드라이 아이스 수증기를 관통하는 광자.gif
그러니까 빛
원뿔 충격파 관측은 덤.
빛의 속도가 초속 30만km이지만 그건 진공 기준이고
매질에 따라서 감속하기 때문에 충분히 찍을수있음
초당 1,000억장 찍는 기술이 이미 8년전에 실용화됨
그럼 뭐를 찍을수있다?
드라이 아이스 수증기를 관통하는 광자.gif
그러니까 빛
원뿔 충격파 관측은 덤.
빛의 속도가 초속 30만km이지만 그건 진공 기준이고
매질에 따라서 감속하기 때문에 충분히 찍을수있음
광속은 불변이라길래 아에 안바뀌구나 했었는데
진공에서의 광속이 불변임
광속 자체는 변하고
그건 관측했기 때문이에요!
광속 자체는 불변인데, 공기 중 입자와 충돌해서 산란되는 동안 시간이 생기니까 느려지는거지
왜파동이아니라 입자로 찍힌거죠?
광속은 불변이라길래 아에 안바뀌구나 했었는데
진공에서의 광속이 불변임
광속 자체는 변하고
광속 자체는 불변인데, 공기 중 입자와 충돌해서 산란되는 동안 시간이 생기니까 느려지는거지
왜파동이아니라 입자로 찍힌거죠?
왜는 왜구 같으니까…
그건 관측했기 때문이에요!
왤케 지렁이같이 가냐
https://youtu.be/EtsXgODHMWk
https://youtu.be/7Ys_yKGNFRQ
빛은 파동이자 입자이다. 라고 배웠는데 일단 저 사진으로는 암만봐도 입자의 특성으로만 보이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