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해를 맞아 ‘삼전적금 프로젝트’에 새롭게 도전해 보겠다는 투자자들도 적지 않을 것이다. 나보다 먼저 삼전적금 만들기에 나선 투자 선배들의 중간 성적표를 살펴 보면, 동기 부여에 좋은 자극이 된다. 이에 [행복한 노후 탐구]가 삼전적금의 원조인 안규리 서울대 의과대학 명예교수의 32개월 투자 성과를 분석해 봤다.
지난 2019년 3월 삼성전자 사외이사에 처음 선임된 안 교수는 그해 5월부터 삼성전자 주식을 100주씩 사기 시작했다. 2019년 5월 그가 처음 삼성전자 주식을 샀을 때 주가는 4만2750원이었다.
안 교수의 100주 주식 매수 공시가 처음 나왔을 때, 여의도 증권가에선 진짜 아무도 관심 갖지 않았다. ‘사외이사가 된 기념으로 한 번 사봤겠지’라는 말도 나왔다. 그런데 안 교수는 지금 여의도 증권가에서 ‘적립식 투자의 최고 롤모델’로 뽑힌다.

그도 그럴 것이, 안 교수가 지난 2019년 5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단 한 달도 빼놓지 않고 삼성전자 주식을 매달 100주씩 사모았기 때문이다. 매수일은 조금씩 달라졌지만 주로 월말에 사들였다. 기계적인 매수를 하면서도 남다른 투자 감각도 발휘했다. 지난 2020년 3월 이후 코로나 사태로 삼성전자 주가가 약세였을 때 매달 100~200주씩 더 사모은 것이다. 그렇게 추가로 매수한 물량까지 더해서 그가 현재 보유 중인 삼전적금 수량은 3800주.
그렇다면 안 교수의 지금까지의 투자 성과는 어땠을까. 우량주 장기 적립식 투자는 과연 ‘진리’였을까.
[행복한 노후 탐구]는 삼성증권에 의뢰해 안 교수가 매달 말일 날짜로 삼성전자 주식을 100주씩 매입한 것으로 가정하고 현재 성과를 추정해 봤다. 그 결과, 안 교수의 평균 매수 단가는 약 6만1500원이고, 총 매수 금액은 2억3383만원이었다. 평가 수익과 배당 수익을 합친 그의 현재 계좌 평가액은 약 2억9982만원(12일 종가 기준). 수익률은 32.2%에 달한다. 삼성증권 관계자는 “수익률이 (높게 나와서) 의외였다”고 말할 정도로 선방했다.
따따블이 될만한 종목이 널렸는데, 왜 하필이면 삼전적금이냐고, 기회 비용 측면에서 손해라고 말하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수퍼개미인 박영옥 스마트인컴 대표는 “30년 동안 주식 투자를 해온 나도 정확한 시장 타이밍을 맞히진 못한다”고 말했다. 누군들 저점에 사서 고점에 팔고 싶지 않겠는가. 말은 좋지만 실제로 맞히는 건 불가능하다고 박 대표는 말했다. 수퍼개미 조차도 삼성전자 3800주를 최저점에 사모으긴 힘들다는 얘기다.
다만 한국 증시는 홍춘욱 EAR리서치 대표의 지적처럼 수출 영향력이 굉장히 커서 다른 나라에 비해 증시 변동폭이 크다는 특징이 있다. 홍 대표는 “삼성전자는 대장주이지만 2000년 이후 두 차례나 매우 긴 침체 국면을 보낸 적이 있다”면서 “투자 지역을 한국에 한정하기보다는 미국 등 선진국으로 분산하고, 주식에만 한정하지 말고 미국 국채 같은 달러 자산에 대한 투자 비중도 늘리기를 권한다”고 조언했다.
from SLRoid
삼성주식으로 모두 떼부자될듯 ㅋㅋ
월급이얼마야..
매달 4만원짜리... 100개... 구입??? ㅎㄷㄷㄷㄷㄷㄷ
100주..?응?
매달 5-800만원씩투자
요새 삼전 주식관련 뉴스랑 글 많은거 보니, 더 떨어질듯,
한달에 500~800만원을 매달 사려면... 월급이 얼마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