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2197973

모기계의 이단아 익충 왕모기

e8645be1815ed8a2bf331947fe7f807d41b9f9cff3072d5eeaa1b018fd25e56ebcf506d5326da132e4c721480978c0674b24a3b21d0a349753a1f186fb69eb46f96814526a4ae4323e5c3210d061078842a99781f986e177d10d33d9f797cb0d4e52.jpg
광릉왕모기는 한반도 토종이며
유충때 장구벌레등을 잡아먹으며
성충이돼도 암수 꿀만빰
이렇게 생긴 모기는 잡으면 안된다능 ㄷㄷㄷ
댓글
  • 닭흙나이트 2021/10/21 07:07

    장구벌레가 모기 유충인데, 그럼 다른 모기종 유충들을 잡아 먹는... ㄷㄷㄷ

    (fTcWgk)

  • 스티브잡스 2021/10/21 07:12

    네 ㄷㄱㄱ

    (fTcWgk)

  • 험프리박 2021/10/21 07:08

    성충의 몸길이는 15~20mm 정도로, 국내에 서식하는 모기들 중 가장 대형종이다. 이에 따라서 일반적으로 4~10mm에 달하는 집모기속(Culex)이나 숲모기속(Aedes)에 속하는 모기들에 비해서 월등히 큰 자태를 뽐낸다. 흰줄숲모기와의 크기 비교 또한 이러한 크기 차이는 유충 간에도 확연히 드러난다.
    한반도를 포함하여 만주지방에 분포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국립수목원(광릉숲), 지리산 지역에서 최초로 분포가 보고되었다. 이후 설악산과 가리왕산 지역에서 서식하는 것이 확인되기도 했다. 주 서식처는 숲이나 산 속의 나무 구멍, 대나무 그루터기, 길가의 폐타이어 등 작은 물웅덩이가 있는 곳으로, 국내에 자생하는 숲모기의 서식처와 많은 부분이 겹친다.
    어마어마한 크기 탓에 일반적인 모기에 비해서 훨씬 많은 양의 피를 필요로 할 것 같지만, 실제로는 유충일 때 육식을 하며 영양분을 비축해 두는 덕분에 성충이 되어서 피를 빨 필요가 없다. 이에 따라서 피가 아닌 꿀이나 수액을 빨기에 적합하게 주둥이가 아래로 굽어있다.
    ------------------- 위키--------
    다행이네요...
    사람한테 안 달겨 들면...
    죽일 이유가 없죠...

    (fTcWgk)

  • 험프리박 2021/10/21 07:09

    오히려 이로운 모기네요...
    장구벌레를 잡아 먹으니....
    다 커서 피를 빨 필요가 없을 정도로...
    새끼 때 비축을 한다고 하니...(유충 잡아 먹는 육식형)...
    오히려 득탬이네요....

    (fTcWgk)

(fTcWg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