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2153640

엄마야 누나야 왜 강변살자고 했을까요?

강변에 사서 떼부자가 되었을지도
압구정 이런곳은 비싸잖아요
댓글
  • 靑靑u_1 2021/09/15 09:05

    그렇죠 감히 강변을 ㅜㅜ

    (W3ehwy)

  • AlphonseMucha 2021/09/15 09:04

    투자의 귀재 리버뷰의 가치에 일찍 눈뜸

    (W3ehwy)

  • 靑靑u_1 2021/09/15 09:06

    네 천재ㅇ같습니다

    (W3ehwy)

  • *SoNic* 2021/09/15 09:04

    선견지명 ㄷㄷ

    (W3ehwy)

  • 靑靑u_1 2021/09/15 09:07

    지금 은 강변은 후리미엄이 어마어마 하쥬

    (W3ehwy)

  • 해질무렵 2021/09/15 09:04

    82년도라네요
    그 때 무리했으면
    지금 무리뉴 안부러울 듯요

    (W3ehwy)

  • 카탈리나에란초 2021/09/15 09:05

    ㅋㅋㅋㅋㅋ 괜찮았습니다,

    (W3ehwy)

  • 세가프레도 2021/09/15 09:11

    오~ 라임 좋네요 ㄷㄷㄷ

    (W3ehwy)

  • 점점점 2021/09/15 09:06

    동요에 그렇게 깊은뜻이 ...

    (W3ehwy)

  • 靑靑u_1 2021/09/15 09:07

    그러게요 그당시는 몰랐어요

    (W3ehwy)

  • 험프리박 2021/09/15 09:10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에 실려 있어 누구나 다 불렀던 노래였지만 작곡가는 알려지지 않았다. 이 노래를 최초로 만든 원조 작곡가가 남평 드들강변에 살았던 안성현이라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그리 많지 않을 것이다. 그럴만한 이유가 있다.
    다소 생소한 이름의 낭만주의 음악가 안성현(安聖絃 1920~2006)은 나주시 남평읍 동사리에서 태어났다. 남평 보통학교를 졸업하고 열일곱 살이 되던 1936년에 가야금산조 명인이었던 아버지 안기옥(安基玉 1894~1974)을 따라 함경남도 함흥으로 이주해서 살다가 일본에 유학, 도쿄의 도호 음악대학 성악부를 졸업했다.
    음악선생과 국어선생의 운명적 브로맨스
    대학을 마치고 고국으로 돌아온 안성현은 전남여중과 광주사범학교, 조선대학교에서 음악교사로 재직했다. 그러던 중 안성현은 1947년에 목포의 항도 여중(현 목포여고)으로 자리를 옮긴다.
    당시 광주사범학교에서 국어를 가르치며 시인이자 수필가로 활동하던 조희관이 항도여중 교장으로 부임하면서 안성현을 음악교사로 스카우트해 간 것이다. 항도여중을 최고의 명문학교로 만들겠다는 조희관 교장의 의도였다.
    안성현은 곧바로 합창단을 구성하여 그해 전국 합창대회에서 준우승을 했다. 일 년에 두 차례의 작곡 발표회와 작곡집을 발간하며 실력 있는 음악 선생으로 명성을 얻게 되었다. 그러던 이듬해 운명의 친구, 국어선생 박기동 시인을 만나게 된다.
    1954년 평양에서의 안성현(좌측)과 2000년 9월 누이가 묻힌 벌교 부용산을 찾은 박기동 시인
    ▲ 1954년 평양에서의 안성현(좌측)과 2000년 9월 누이가 묻힌 벌교 부용산을 찾은 박기동 시인
    ⓒ 나주시청 벌교청년회의소
    관련사진보기
    박기동(朴璣東 1917~2004) 시인은 1917년에 여수 돌산도에서 태어났다. 열두 살이 되던 해에 가족과 함께 전남 보성 벌교로 이사 왔다. 한의사였던 아버지 박준태의 넉넉한 가정 형편 덕에 14세의 어린 나이에 일본으로 조기 유학을 떠났다. 그곳에서 중학교를 마친 후 관서대학에 진학하여 영문학을 전공하지만, 식민지 현실에 절망하며 우리말과 글의 소중함을 인식하고 시인이 되기로 결심한다.
    1943년에 귀국하여 벌교 남초등학교와 벌교 상고에서 국어, 영어 교사를 지내고 1947년 순천사범학교에서 근무 중 좌익 계열의 '남조선교육자협의회'에 가입한다. 이때 세칭 '교협사건'이 발생하여 순천경찰서에 구금되고 교사직을 박탈당한다. 시인에게 '빨간 색깔의 옷'이 입혀지는 순간이었다. 이때, 실의에 빠져 있는 박기동을 조희관 교장이 항도여중의 국어교사로 초빙한다.
    그렇게 음악선생 안성현과 국어선생 박기동은 목포 항도여중에서 만나 단짝으로 지냈다. 조희관 교장이 두 사람을 아껴 자연스럽게 어울리면서 친해진 탓도 있었지만, '음악과 시'라는 예술적 감수성이 통했기 때문이다. 박기동은 시를 쓰고 안성현은 그의 시에 운율을 입혀 노래로 만들었다. 이즈음에 그들에게 붉은색이 덧씌워지는 슬프고도 애달픈 노래 <부용산>이 탄생한다.
    박기동 시인의 어린 누이가 묻힌 벌교 부용산 오리길에 세워진 시비
    ▲ 박기동 시인의 어린 누이가 묻힌 벌교 부용산 오리길에 세워진 시비
    ⓒ 박성환
    관련사진보기
    요절한 누이를 그리는 오라비들의 비가(悲歌)
    안성현과 박기동에게는 어린 누이들이 있었다. 안성현에게는 아버지 안기옥이 북으로 떠난 뒤 그가 보살폈던 안순자가 있었고 박기동에게는 결혼한 지 얼마 안 된 동생 박영애가 있었다. 이런 걸 운명이라고 할까. 공교롭게도 두 동생들은 1947년 같은 해에 불치의 병, 폐결핵으로 오라비들의 곁을 떠난다. 박영애는 스물넷이었고 안순자는 열다섯의 피어나지도 못한 꽃봉오리였다.
    박기동은 벌교 읍내에서 오리 길인 연꽃 모양의 부용산 기슭에 어린 동생을 묻고 내려오면서 사무치는 그리움과 애틋함이 담긴, 누이를 기리는 시 <부용산>을 남긴다.
    먼저 저세상으로 간 어린 누이들을 가슴에 묻고 동병상련을 앓고 있던 음악가와 시인은 또 다른 죽음을 맞이 한다. 해방을 맞아 경성사범학교에서 고향인 목포 항도여중으로 전학 온 문학소녀, 김정희라는 학생이 폐결핵으로 열여섯의 나이에 요절한다. 안성현은 아끼던 제자의 죽음을 안타까워하며 박기동의 시 <부용산>에 운율을 입혀 노래로 만들었다.
    그렇게 시와 노래로 만들어진 <부용산>은 안성현과 박기동의 누이 안순자(15) 박영애(24) 제자 김정희(16), 세 명의 어린 죽음을 애도하는 만가(挽歌)이자, 요절한 누이를 그리는 오라비들의 비가(悲歌)였다.
    빨간 줄이 그어진 음악가와 시인
    격동의 시기, 남도 사람들의 입에서 입으로 구전되어 가던 슬픈 노래는 또 다른 운명을 잉태하고 있었다. 1948년 10월에 발생한 '여순사건'으로 산으로 쫓겨간 빨치산들은 애잔한 곡조와 노랫말에 매료되어 <부용산>을 즐겨 부르며 슬픔을 달랬다. 오라비들의 엘레지는 '빨치산의 노래'가 되어버렸다.
    한국전쟁이 발발한 1950년 9월 안성현에게 붉은 줄이 그어지는 결정적인 사건이 발생한다. 동경 유학시절 알고 지냈던 '월북 무용가 최승희'의 딸 안성희가 무용 공연차 목포에 왔다. 안성현은 아버지 안기옥과 최승희를 만나기 위해 안성희의 북행길에 동행했다가 인천상륙작전으로 길이 막혀 영영 돌아오지 못했다. 안성현은 그렇게 '월북자'라는 붉은 낙인이 찍혀 금기어가 되었다.
    박기동 시인도 1957년에 교직을 떠났다. 안성현과 연좌되어 좌경 시인으로 몰려 가택수색과 연행구금을 당하며 시집 한 권도 내지 못했다. 더 이상 시를 쓸 수 없다는 절망감에 시인은 76세의 노구를 이끌고 혈혈단신 조국을 버리고 이역만리 호주로 떠났다.
    ------------------
    가사는 잘 아시는데로...
    유명한 시인이 지었고...

    (W3ehwy)

  • 험프리박 2021/09/15 09:11

    안성현도 86세가 되던 2006년 4월 북한에서 눈을 감았다. 북한의 <문학신문>은 음악가의 부고를 전하면서 민족음악 발전에 큰 공을 세운 '공훈예술가 안성현'의 죽음을 애도했다.

    (W3ehwy)

  • 靑靑u_1 2021/09/15 09:13

    아 안타까운 사연이네요

    (W3ehwy)

  • 험프리박 2021/09/15 09:14

    그래서...
    대한민국에서는...
    한 동안...
    작곡가 불명이라고 했었죠...

    (W3ehwy)

  • 사진은찍고다니냐 2021/09/15 09:12

    친구 따라 강남 갔으면 그 친구가 평생 은인일까요? ㅋㅋㅋ

    (W3ehwy)

  • 靑靑u_1 2021/09/15 09:14

    놀러갔겠죠?

    (W3ehwy)

(W3ehw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