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같은 온돌은 바닥난방이라고 해서 별도로 붙어 있는 집이 있다.
요즘 신축 맨션들은 꽤 높은 확률로 온돌이 설비되어 있다. (단 집 전체가 아님. 거실만이라던지.)
일단 난방으로 물을 데워서 쓰는 건 맞는데 위 짤 처럼 쓸 때마다 버튼 누르고 뎁히고 뎁혀질때까지 기다리고
이런 식의 설비가 붙어있는 건 정말 정말 정말 오래된 집이다.
작성자 집의 난방.
기본적으로 상시 돌아가고 그냥 따로 뎁히기 이런거 안 눌러도 뜨거운 물 나온다.
한국 보일러랑 똑같다고 보면 됨. 온돌이 아닐 뿐.
한국과 다른 점이 있다면, 욕조의 물을 자동으로 받아주는 기능이 있다.
모든 버스가 후불 방식은 아니다.
오히려 선불 방식의 버스가 많다. (타지역은 잘 모르겠고 도쿄는 체감상 한 80퍼센트는 선불인듯)
시스템을 알기 쉽게 설명하자면
선불
승차시 - 돈을 내거나 카드를 찍음. (요금발생)
하차시 - 그냥 내림
후불
승차시 - 정리권을 뽑거나 카드를 찍음. *정리권에 번호가 적혀있음
하차시 - 카드를 찍거나 승차시 뽑은 정리권을 넣고 돈을 넣음 *정리권에 적힌 번호와 모니터를 대조해서 요금 확인 (요금발생)
이런식이다.
도쿄는 대부분 선불인데 (후불이면 피크시간대에 시간이 지체될 수 있기에) 지방으로 갈 수록 후불이 늘어나는 것 같음 *체감상
ps - 저격은 아니고 너무 설명이 yes/no 같은 단정적이라서 추가 설명합니다.
거실에서 자란건가
근데 난방이 아니라 온수기 아님? ㅇㅇ
온수기 맞아오 그냥 사람들 이해하기 편하라고 난방이라고 적음
거실에서 자란건가
근데 난방이 아니라 온수기 아님? ㅇㅇ
온수기 맞아오 그냥 사람들 이해하기 편하라고 난방이라고 적음
우리집도 똑같은거긴 함 ㅇㅇ
누마즈에서 버스 첨 타봤는데 왠 종이쪼가리 안챙기니까 같은 버스에 있던 사람들이 저거 챙기라고 알려주더라고...
님이 생각할때 갓본 좋은점과 ㅈ같은점 하나씩 꼽으면 뭐있나요?
저거 서울 고급 빌라아파트도 저런 온수구조긴 함
대신에 저걸 키고끄는건 아니고 온수 돌리면 알아서 켜짐
유튜브 보니까 일본에서 애플페이로 결제하던데 거긴 민자 지하철이건 버스건 애플페이로 다 됨?
온수기는 한국에서도 겁나 오래된곳이나 쓸걸? 물덥히는 데만 30분은 걸렸던 기억있네
편의점에서 뭐 사면서 길 물어보니까 카운터 아래에서 지도 꺼내서 알려주는건 좀 신박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