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각정보 처리
인간의 안구는 가장 결함이 많은 부분 중 하나인데, 시신경이 망막 안으로 연결되어있어서 구멍도 뚫려있고 시신경이 망막을 가림.
그래서 실제로는
이런식으로 보임.
이제 저 이미지에서 딥러닝을 사용해 슈퍼컴퓨터급 연산을 하면 짜잔!
사람들이 평소 보는 시야가 구축됨.
.......??
ㅅㅂ 어케했냐 뇌 미친련아;
시각정보 처리
인간의 안구는 가장 결함이 많은 부분 중 하나인데, 시신경이 망막 안으로 연결되어있어서 구멍도 뚫려있고 시신경이 망막을 가림.
그래서 실제로는
이런식으로 보임.
이제 저 이미지에서 딥러닝을 사용해 슈퍼컴퓨터급 연산을 하면 짜잔!
사람들이 평소 보는 시야가 구축됨.
.......??
ㅅㅂ 어케했냐 뇌 미친련아;
그거 못한 생물은 다 죽었거든
+ 초당 10프레임짜리 이미지 연사를 봐도 움직이는 애니메이션처럼 보이는것도 그 중간중간 프레임을 우리 뇌가 자동으로 인식해서 플루이드모션해주기 때문임
하지만 오징어는 망막 밖에 시신경이 위치해서 안구가 밖으로 빠지는 경우가 흔해짐
눈 성능만 보면 오징어가 사람보다 더 뛰어남
오징어 : 꼭 그런건 아님.
그거 못한 생물은 다 죽었거든
오징어 : 꼭 그런건 아님.
눈 성능만 보면 오징어가 사람보다 더 뛰어남
하지만 오징어는 망막 밖에 시신경이 위치해서 안구가 밖으로 빠지는 경우가 흔해짐
예전에 오징어 눈이 훨씬 더 뛰어나지만 저렇게 뇌를 혹사시킨것 덕분에 인간의 지능이 높아지도록 진화되었다는 가설을 봤던것같은데
신기하다
그래서 눈 감고 있으면 체력이 회복이 되는건가?
저래서 미세하게 떨리는 상태를 유지해서 여러장 찍음 + 여러장을 처리해서 우리가 인식하는 영상으로 편집함 이라고 하더라.
아니 실시간 이미지 딥러닝이라고? 허미 시펄
그래서 처리오류로 착시현상이있는거자나
그래서 피로할때 본능적으로 눈을 감지
실제 효과도 있고
항상 시야에 들어와야하는 코 무시하는것도 저 연산의 일환인가.
졍답
+ 초당 10프레임짜리 이미지 연사를 봐도 움직이는 애니메이션처럼 보이는것도 그 중간중간 프레임을 우리 뇌가 자동으로 인식해서 플루이드모션해주기 때문임
프레임이 떨어지면 멀미나는 이유가 장면간 차이가 커서 연산이 빡셔져서 아닐까 싶음.
그래서 내가 쳐다보는 부분 외의 부분 의식해보면 확실히 이미지가 모호 하다는걸 알수 있음
눈이 저따위인데 안 바뀌는 이유가 뇌가 다 커버칠 수 있으니 구태여 힘들여서 눈을 바꿔야할 필요성이 없기 때문이라더라
저걸 보정하기위해 우리 눈은 수시로 떨림
그걸 하나로 합하는 연산까지 해야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