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는 몇 차례의 대멸종 이후 5000명 내외밖에 남지 않은 시점에서 번식해서 지금까지 온거인데, 당연히 그 중에 소시오패스가 있었겠디.
즉 아무리 많게 잡아봐야 몇천명대의 유전자풀 안에서 조합이 나온다는 거고.
그래서 유전병이 특정 국가나 인종이 아니라 세계 곳곳에서 생겨나는 건데, 소시오패스도 마찬가지지.
눈에 띄는 소시오패스 하나를 묻어버려봐야 너도나도 소시오패스 유전자의 보유자니까.
팔콘2021/05/23 09:47
저런 고대시절부터 소시오패스를 제거해왔음에도 여전히 소시오패스가 존재하는걸 보면 유전적으로 일정확률로 발현되는건가?
박파이리2021/05/23 09:48
현대인들은 소시오패스를 낭떠러지에서 밀어버리지 않기때문에
소시오패스가 더 많다
팔콘2021/05/23 09:47
저런 고대시절부터 소시오패스를 제거해왔음에도 여전히 소시오패스가 존재하는걸 보면 유전적으로 일정확률로 발현되는건가?
샤아 다이쿤2021/05/23 09:49
인류는 몇 차례의 대멸종 이후 5000명 내외밖에 남지 않은 시점에서 번식해서 지금까지 온거인데, 당연히 그 중에 소시오패스가 있었겠디.
즉 아무리 많게 잡아봐야 몇천명대의 유전자풀 안에서 조합이 나온다는 거고.
그래서 유전병이 특정 국가나 인종이 아니라 세계 곳곳에서 생겨나는 건데, 소시오패스도 마찬가지지.
눈에 띄는 소시오패스 하나를 묻어버려봐야 너도나도 소시오패스 유전자의 보유자니까.
인류는 몇 차례의 대멸종 이후 5000명 내외밖에 남지 않은 시점에서 번식해서 지금까지 온거인데, 당연히 그 중에 소시오패스가 있었겠디.
즉 아무리 많게 잡아봐야 몇천명대의 유전자풀 안에서 조합이 나온다는 거고.
그래서 유전병이 특정 국가나 인종이 아니라 세계 곳곳에서 생겨나는 건데, 소시오패스도 마찬가지지.
눈에 띄는 소시오패스 하나를 묻어버려봐야 너도나도 소시오패스 유전자의 보유자니까.
저런 고대시절부터 소시오패스를 제거해왔음에도 여전히 소시오패스가 존재하는걸 보면 유전적으로 일정확률로 발현되는건가?
현대인들은 소시오패스를 낭떠러지에서 밀어버리지 않기때문에
소시오패스가 더 많다
저런 고대시절부터 소시오패스를 제거해왔음에도 여전히 소시오패스가 존재하는걸 보면 유전적으로 일정확률로 발현되는건가?
인류는 몇 차례의 대멸종 이후 5000명 내외밖에 남지 않은 시점에서 번식해서 지금까지 온거인데, 당연히 그 중에 소시오패스가 있었겠디.
즉 아무리 많게 잡아봐야 몇천명대의 유전자풀 안에서 조합이 나온다는 거고.
그래서 유전병이 특정 국가나 인종이 아니라 세계 곳곳에서 생겨나는 건데, 소시오패스도 마찬가지지.
눈에 띄는 소시오패스 하나를 묻어버려봐야 너도나도 소시오패스 유전자의 보유자니까.
와
현대인들은 소시오패스를 낭떠러지에서 밀어버리지 않기때문에
소시오패스가 더 많다
현대사회의 어두운 단면이군
가장 단순하고 효율적인 방법이긴 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