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1151315

장갑차 (보병전투차) 가장 많은 나라

Light_Armored_Vehicle.jpg699e23b5be6a7b30bbf8385d7892fd4d.jpg9d601fbae6947352a040550c5f5020d4.jpgJaguar_EBRC_6x6_Reconnaissance_and_Combat_Armoured_Vehicle_France_French_army_defense_industry_925_001.jpg1f07ae629271b418b6163ad29ed4ec05.jpg
러시아 4만대
중국 1만대
미국 거의 1만대
독일 9천대
.........................
기계화전투력에서 장갑차가 가지는 위력은 어느정도일까요?
아마도 탱크보단 장갑차인가요?
댓글
  • midsummer 2019/09/02 12:37

    보병막이줄수있는게 장갑차
    이동과 방호력 ㄷㄷㄷ

    (xPoSKM)

  • midsummer 2019/09/02 12:39

    탱크는 공격형이고
    한두대로 안되고
    12대이상
    장갑치보다 네다섯배는 비쌀걸요 ㄷㄷㄷ

    (xPoSKM)

  • blanca777 2019/09/02 12:38

    쟤들은 탱크 만나면 하늘나라 가기 바쁠걸요 ㄷㄷㄷ

    (xPoSKM)

  • 뒤돌아본들 2019/09/02 12:38

    전차 만날일이 많을까요?

    (xPoSKM)

  • midsummer 2019/09/02 12:40

    그렇게따지면 탱크도 헬기에 ㄷㄷㄷ

    (xPoSKM)

  • blanca777 2019/09/02 12:42

    기계화부대에 가지는 의미를 물어봐서 적은 댓글입니다.
    그냥 전차 붙이는게 나아요.
    저런게 나온 이유가 기동성+저렴함+낙하 가능 등인데 한국에선 그닥 의미가.

    (xPoSKM)

  • 하얀로냐프강에서 2019/09/02 13:08

    낙하 가능은 뭔가요?
    그 헬기에 매달려서 이동하는 그거요?

    (xPoSKM)

  • blanca777 2019/09/02 13:09

    낙하산 매달고 공수하기요.
    헬기에 매달려서 이동하기도 포함되기는 합니다.

    (xPoSKM)

  • 이지* 2019/09/02 12:38

    대전차전이 아닌 대보병전에서는 일방적 학살가능이쥬...

    (xPoSKM)

  • 최종병기 2019/09/02 12:39

    전차와 보병이 같이 움직여야 하는데 보병이 못 따라감
    탱크위에 보병을 태워서 같이감-고기 장갑 추가요 보병이 갈려나감
    보병이 타고 이동할 장갑차를 만들어 봄-장갑이 약해서 적전차 및 대전차 미사일에 갈려나감
    장갑차에 포탑을 실어서 전투도 가능하게 해봄-보병태울 자리가 불어듬
    보병은 다시 맨몸으로 뛰어감

    (xPoSKM)

  • 독도야울지마라 2019/09/02 12:41

    독일이 9천대라는 건 뭔가 납득이 안가는 숫자이네요.
    독일 육군 숫자가 뻔한데
    혹시 출처가 있나요?

    (xPoSKM)

  • 독도야울지마라 2019/09/02 12:44

    http://blog.naver.com/PostView.nhn?blogId=jhu0627&logNo=10019092741...
    여기선 독일 장갑차 447대라고 합니다. 이거 차이가 너무 나는데

    (xPoSKM)

  • CircuitBoard 2019/09/02 12:45

    순수 전투력만 보면 장갑차<<<<넘사벽<<<탱크인데
    탱크 가격은 장갑차보다 훨씬 비싸죠...
    애초에 장갑차가 생긴 이유는 탱크를 대체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전면전 상황에서 경차량을 대체하여 차량화보병을 만들기 위해서라.

    (xPoSKM)

  • 잭군 2019/09/02 12:51

    저 수치는 전후 독일 전성기 시절일듯... 지금은 국방비 삭감하고, 비리에 독일 육군 개판입니다.
    그 유명한 레오파드도 당장 전시 투입가능한게 두자리수라고 하더군요.

    (xPoSKM)

  • 은하침대999 2019/09/02 13:11

    장갑차는 이동중 소총탄 피격과 돌격시 전투력 손실없이 목적지까지 신속히 이동시키는데 있습니다.
    그냥 멀리서 개돌하다 죽는경우가 더 많고 쉽게 지치기때문에 아주 매력적인 운송수단이죠.

    (xPoSKM)

  • ARTDSLR 2019/09/02 13:12

    독일 9천대 출처좀 부탁드립니다....ㄷㄷㄷ

    (xPoSKM)

  • 밥빈대 2019/09/02 13:13

    육공트럭보다는 낫겠쥬.

    (xPoSKM)

  • -아립- 2019/09/02 13:17

    러시아는 육군교리가 서유럽 평원 기갑전을 상정한 주력전차 물량전 및 도시 점령전을 위한 보병전투차 구성으로 되어있습니다. 그래서 평원위주인 서유럽 환경에 안맞는 공격헬기나 다연장로켓같은쪽은 크게 투자를 안했어요.

    (xPoSKM)

  • 모월산 2019/09/02 13:27

    땅이 넓으니 뭐~

    (xPoSKM)

  • LV7.할건다해보장 2019/09/02 13:33

    보병 장갑차의 필요성은 이동 속도 때문에 나온겁니다.
    독일의 전격전의 경우 공군, 포병, 기갑전차, 보병의 순차적인 공격이 필수적이고,
    이럴때 보병의 속도가 너무 느려, 제대로된 전격전을 구사하기 힘든 점이 있었습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후륜 무한궤도를 장착한 장갑차를 운영하기 시작했습니다.
    이후, 소련의 BMP시리즈가, 전면적인 대전차전은 아니라도, 전차와 함께 이동하며 화력 동원력을 발휘하고, 때에 따라선 적 전차도 파괴할수 있는 능력을 갖추게 되었고,
    미국은 이를 보고 브래들리 전차를 개발하여, 기관포와 토우미사일을 탑재하여 적전차도 파괴할수 있는 기능을 갖추게 되었습니다.
    즉, 보병 장갑차에 있어 필요한 능력은, 이동속도/대소총 장갑능력(최근은 지뢰방호능력)/대전차 및 벙커 사격 능력의 순입니다.

    (xPoSKM)

(xPoS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