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그마 스포츠를 사용했었는데 자주 가지고 다니기에 무거워서 방출하고
200mm를 아쉬워하다 시그마 135.8을 영입했는데요.
수치상으로 DOF 시뮬레이션에서
200/f2.8이 전신 14.17m에서 1.023mm 2.84% 정도 블러 처리되고
135/f1.8이 전신 9.56m에서 1.074mm 2.98% 정도 블러 처리 되더라구욤.
같은 크기의 전신 사진을 찍었을때 135.8이 약간 배경이 더 잘지워지는건 맞는데.
배경 압축효과와 아웃포커싱 효과가 비슷한건지 아님 약간 의미가 다른지 궁금합니다.
https://cohabe.com/sisa/1145033
135mm F/1.8이 200mm F/2.8 정도의 배경 압축 효과가 나올까요?
- 성우가 10주년 축하를 안해준 이유.jpg [1]
- 네리소나 | 6분전 | 211
- 한국 아재개그 들은 일본 아재 반응 [8]
- Aragaki Ayase | 7분전 | 518
- 찹쌀 탕수육 근황 .jpg [27]
- 검은투구 | 10분전 | 938
- 모델 정보에 별걸 다쓰네 [19]
- 7696264539 | 11분전 | 454
- 영어는 간지폭발인데 한국어는 구려보이는 케이스 [17]
- 9116069340 | 12분전 | 294
- 버튜버)사카마타 클로에 팝업 [8]
- 메데탸??⚒?? | 15분전 | 309
- 우리가 도박을 하면 무조건 지는 이유 [15]
- 이상성욕성애자 | 16분전 | 441
- 강수진 성우님이 원신을 원망하는 이유 [3]
- 별들사이를 걷는거인 | 17분전 | 202
- 저는 과거에서 왔습니다 제발 저를 도와주세요 [12]
- 토드하워드 | 18분전 | 1171
- 시대를 너무 앞서간 150년 전 발명품.JPG [14]
- 713143637271 | 19분전 | 484
- 포켓몬 정상하는 역시 신텐도 [1]
- 4639467861 | 20분전 | 664
배경 압축 효과는 화각의 문제입니다.조리개가 문제가 아닌.
그렇군요...
135 크롭모드로 찍으면 되겠네요 배경압축이 거의같을듯합니다
크롭모드나 크롭기에 135mm 를 마운트한다고 해서 배경압축이 환산화각으로 적용되지 않습니다. 광학적 특성은 동일합니다.
하나 사족을 덪붙이자면 135.8 크롭모드로 사용하면 200f2.8하고 화각 심도 거의 같습니다..고로 배경압축 흐림 거의 비슷합니다
잘못알고 계시네요 배경압축은 화각하고 관계가 깊습니다 화각이 같으면 배경압축도 똑같아요
님들이 주장하는 것은
피사체와의 거리가 풀,크롭 똑같다는 것을 깔고 하는데
실제로 사용자들이 원하는 답변은 화면 내에서 인물 크기가 비슷하게 찍었을때입니다.괜히 초보분들 헷갈리게만 하는 답변
배경압축은 초점거리랑 상관이있고 조리개값은 심도랑 연관이 있어서 날라가는 건 135가 약간 더 날아가지만 배경압축효과는 200이 더 좋지 않나요?
배경흐림에 의한 압축도를 말씀하시는거면
135에 손을 들어주고 싶고
배경압축은 위 네포님 말씀대로 조리개의 문제가 아니라
화각에 의한 문제라서..
압축도 -> 집중도로 정정합니다.
배경압축 말고 아웃포커싱 말씀하시는 거죠?
135 : 1.8 = 200 : x
값 구하면 됩니다. x는 2.666이 나오네요.
즉 135/1.8은 200으로 치면 F2.666정도가 나옵니다. 고민하시는 두 렌즈의 아웃포커싱 정도는 거의 같다고 보시면 되겠습니다.
보통 동급으로 봅니다.
망원으로 갈수록 배경분리가 잘된다고 얘기하는게
심도가 같은 경우 압축효과 때문에
망원의 흐려짐이 더 커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