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5121045

카드게임은 운겜이라 망할까 실력겜이라 망할까


카드게임은 운겜이라 망할까 실력겜이라 망할까_1.jpg

(발언자는 매년 매출 갈드컵 여는 걸로 악명 높은 사람이지만 의견은 괜찮아서)

(국내 유희왕은 일본에서 매년 망하고있다!  주장이 거의 대부분 이사람 주장 카피인데 대회는 개조졌어도 일반매출은 느는 특이한 상황이에요)



카드개임에 진짜 자주 나오는 이야긴데


“그래서 그거 운겜이지 않음?“이랑

”아니 실력겜인데?“ 이슈가 있어요



사실 고전 카드게임은 대부분 운겜이 맞아요


왜냐면 게임이 나온 직후에는

한 장의 카드가 할 수 있는 건 고작해야 두 장 치거든요



카드게임은 운겜이라 망할까 실력겜이라 망할까_2.webp

①: 이 카드를 일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한다. 이 카드에 마력 카운터를 1개 놓는다(최대 1개까지).
②: 이 카드의 공격력은, 이 카드의 마력 카운터의 수 × 300 올린다.
③: 이 카드의 마력 카운터를 1개 제거하고, 필드의 마법 / 함정 카드 1장을 대상으로 하여 발동할 수 있다. 그 카드를 파괴한다



전직 금지 카드 마도전사 브레이커.

몬스터 하나가 타점 1900 / 마법 함정 카드 견제가 가능하다는 것만으로 금지가 된 카드입니다



근데 게임이 조금 더 오래되면 어떻게 되나?



카드게임은 운겜이라 망할까 실력겜이라 망할까_3.webp

이 카드명의 카드는 1턴에 1장밖에 발동할 수 없다.
①: 이 카드를 발동한 턴의 엔드 페이즈에, 이 카드의 발동 후에 자신 또는 상대가 발동한 마법 카드의 수까지, 덱에서 "마도서의 신판" 이외의 "마도서" 마법 카드를 패에 넣는다. 그 후, 이 효과로 패에 넣은 카드의 수 이하의 레벨을 가지는 마법사족 몬스터 1장을 덱에서 특수 소환할 수 있다.


카드 한 장이 네다섯 장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이 단계에 오면 운을 넘어서 얼마나 잘 돌리냐(…) 가 게임의 기준이 돼요


그래서 게임이 실력겜에 가까워집니다

고작 시작 패 5장 정도의 변수로, 게임을 닫는 데까지 영향을 줄 만큼의 확률적 변수는 생기지 않아요. 



카드게임은 운겜이라 망할까 실력겜이라 망할까_4.jpg

https://m.ruliweb.com/community/board/300546/read/2703010?page=6


효과 사용 체커를 만들지 않으면 이 효과 썼던가 이 효과 턴제한이 있던가 하는 단계의 상태면 더더욱요.





그럼 여기서 더 나가면 어떻게 되냐




카드게임은 운겜이라 망할까 실력겜이라 망할까_5.webp

티아라멘츠" 몬스터 + 물족 몬스터
이 카드명의 ①②③의 효과는 각각 1턴에 1번밖에 사용할 수 없다.
①: 이 카드를 특수 소환했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덱에서 "티아라멘츠" 카드 1장을 고르고, 패에 넣거나 묘지로 보낸다.
②: 자신 필드의 몬스터 1장을 대상으로 하고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패 / 묘지에서 "티아라멘츠" 몬스터 1장을 특수 소환하고, 대상 몬스터를 묘지로 보낸다.
③: 이 카드가 효과로 묘지로 보내졌을 경우에 발동할 수 있다. 자신의 덱 위에서 카드를 5장 묘지로 보낸다.



한 장이 대강 15-16장 역할을 하고

혼자서 겜을 뒤집습니다


다시 이 단계에 오면 게임은 운게임으로 회귀해요

너무 강해서 가져올 수 없게 설계된 더 미친 카드를

깡으로 뽑지 못하면 저 15장짜리 카드는 게임을 끝내거든요.



이러다보니 운게임이 맞냐 실력겜이 맞냐는 이전부터 말이 많이 나온 문젭니다




그런데, 여기서 주목할 게 있어요



유저는 뭘 좋아하냐입니다.



카드게임은 운겜이라 망할까 실력겜이라 망할까_6.jpg




카드게임은 운겜이라 망할까 실력겜이라 망할까_7.jpg




카드게임은 운겜이라 망할까 실력겜이라 망할까_8.jpg




카드게임은 운겜이라 망할까 실력겜이라 망할까_9.jpg

https://note.com/cratermuller/n/n3b19cefdadf5 로부터의 부분 인용입니다.


매출에 있어서 제일 중요한 건


얼마나 많은 헤비게이머가 있냐가 아니거든요.

얼마나 많은 라이트게이머가 있냐입니다.


초보자가 기껏 큰 돈(카드게임 처음 시작한 사람에게 만원은 큰돈이에요) 들여 시작했는데


한판도 못 이기고 지기만 하면


과연 남을까요? 


안 남겠죠?





물론 너무 운게임이어도 안 되긴 해요

내가 이 게임 모든 카드와 모든 전략과 모든 콤보를 아는데



카드게임은 운겜이라 망할까 실력겜이라 망할까_10.jpg


지나가던 입문자에게 아무것도 못하고 져버리면


게임에 남겠냐구요. 안 남죠



결국 이 둘의 밸런싱이 중요하다는 건데,



카드게임은 운겜이라 망할까 실력겜이라 망할까_11.jpg

마스터듀얼 유저추이



카드게임은 운겜이라 망할까 실력겜이라 망할까_12.jpg


이런 이야기가 나오는 건 어쩔 수 없는 부분도 있다는 거에요

밸런싱이 조져버렸는데 유저가 남겠냐…이야기죠.


실력겜과 운겜을 뛰어넘은 그 어떤 영역에 도달해서

천천히 대회판이 쇠퇴하고 있었던 게

최근까지의 유희왕 환경이었어요.


실제 이런 타 카드게임도 꽤 있고

억지로 블록제나 리부트 등등 이걸 뒤엎으려고 합니다만

그 과정에서 유저가 이탈하는 등 부작용도 장난아닙니다.


전세계에서 가장 많은 유입을 가진 포켓몬은

그와 같은 수로 유저를 터는 걸로도 유명한데


카드게임은 운겜이라 망할까 실력겜이라 망할까_13.jpg

아이들이 하나둘씩 모아 대회에 나가서 적응하면

그 덱은 바로 키카드가 블록에서 빠져나와서 못쓰게 되어

새 덱을 만들고 적응해야 하거든요



참 어려운 이야기죠.


결국 카드게임은 운겜이어야 시작할 수 있고

실력겜이어야 유지될 수 있고

그리고 결국 언젠가 인플레에 신규가 끊기면서 고꾸라진다


이 루프를 도는 것 같아요.







여기부터는 여담인데요,



특히 일본 유희왕은 왜 매출이 느는데 한국은 이러냐…면



카드게임은 운겜이라 망할까 실력겜이라 망할까_14.jpg

작년 8월에 쓴 거지만


국내 유희왕은 유저의 9할이 대회유저였어요


그러다보니 대회판 밸런스를 말아먹으면 바로 유저가 감소합니다.




일본은 대회가 우리나라보다 더 심각하게 박살났습니다만



카드게임은 운겜이라 망할까 실력겜이라 망할까_15.jpg




카드게임은 운겜이라 망할까 실력겜이라 망할까_16.jpg




카드게임은 운겜이라 망할까 실력겜이라 망할까_17.jpg




카드게임은 운겜이라 망할까 실력겜이라 망할까_18.jpg


하얀숲얼터가이스트명세계가 우승하고

원석으로 마건을 돌리고 하는 그런 유저교류회가 전체의 8할을 점하고 있거든요


컨셉질하면서 추억 공유하고 노는 게 메인이다 보니

대회판과 관계없이 카드가 추억을 자극하고 과거 테마 지원만 해주면

유저가 늘어나는 상황이 되었습니다


참…




여담 2.


국산 카드게임 시장은 지금도 대격변기입니다


카드게임은 운겜이라 망할까 실력겜이라 망할까_19.jpg




카드게임은 운겜이라 망할까 실력겜이라 망할까_20.webp


니벨아레나는 니케 원툴에서 벗어나

다양한 아이피와 콜라보하면서

국산 카드게임 대장주

겸 카드게임판 미풍양속 기준경신자

로써 선방하고 있고






카드게임은 운겜이라 망할까 실력겜이라 망할까_21.jpg카드게임은 운겜이라 망할까 실력겜이라 망할까_22.jpg




카드게임은 운겜이라 망할까 실력겜이라 망할까_23.jpg카드게임은 운겜이라 망할까 실력겜이라 망할까_24.jpg


카드게임은 운겜이라 망할까 실력겜이라 망할까_25.jpg




인디 출신 국산카드게임 대장주인

루멘콘덴서는 스콘 부스에 꼽사리 껴서라도 agf에 참가하면서 

진짜 꾸준히 우상향 중이구요

(관심가져주는 유저분들 늘 감사합니다)



카드게임은 운겜이라 망할까 실력겜이라 망할까_26.jpg




카드게임은 운겜이라 망할까 실력겜이라 망할까_27.jpg

이 판에 새로 출격하는 스타라이트 tcg도

국산 신규 게임으로써 도발적인 도전을 하고 있습니다

과거 소드걸스 tcg랑 매더게 국내 판매에 관여한 분들이 만드신다고 알고 있는데, 확인은 필요하네요



카드게임은 운겜이라 망할까 실력겜이라 망할까_28.webp


외에도 가챠즈 듀얼이 시즌 1을 살아남으면서

인디즈 중에 두각을 보였고



카드게임은 운겜이라 망할까 실력겜이라 망할까_29.jpg


Panas라는 곳에서 제작한 스태커배틀도

이제 시장에 나올 준비를 하고 있습니다




진짜 이런 국산 풍년 보기 힘들어용

카드게임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댓글
  • 익명-jUzMDU1 2025/11/12 23:28

    유흥왕은 카드게임들중에서 흔치않은 운을 거의 배제한 게임중 하나라서 다른 카드게임이랑 비교하긴 좀 뭐하다 생각함
    다른게임들은 운칠기삼이 맞는 말인데
    유흥왕은 운3기7 이라 생각함

  • 익명-jUzMDU1 2025/11/12 23:28

    유흥왕은 카드게임들중에서 흔치않은 운을 거의 배제한 게임중 하나라서 다른 카드게임이랑 비교하긴 좀 뭐하다 생각함
    다른게임들은 운칠기삼이 맞는 말인데
    유흥왕은 운3기7 이라 생각함

    (Ekilu8)

  • SNOW per 2025/11/12 23:32

    거기다 유희왕 특유의 패트랩이란 변수도 생각해볼만하고요

    (Ekilu8)

  • 이세계 세가사원 2025/11/12 23:36

    근데 일본 카드게임계 사람들은 유희왕보다 실력겜이 더 많다고 해요

    (Ekilu8)

  • 익명-jUzMDU1 2025/11/12 23:37

    mtg 한 5턴동안 드로우하면서 지형만 뽑아봐야 아 이게 운빨ㅈ망겜이구나 싶던데..

    (Ekilu8)

  • 이세계 세가사원 2025/11/12 23:38

    사실 저도 매더개 운2 보고 멍게소리지 싶어 본문엔 안넣었어용

    (Ekilu8)

  • S.S[정상상태] 2025/11/12 23:38

    유희왕은 멀리건이 없고, 선후공을 많이 타기 때문에 운이 상당히 중요함.
    tcg 이것저것 많이해봣는데, 운이 5 넘는게 차라리 겜하는건 편함.
    윗글에 나왓던 바이스 슈발츠는 운게임임에도 확률수렴을 노리기 때문에 오히려 운요소가 적은 이상한 게임임.

    (Ekilu8)

  • 파이어니어 2025/11/12 23:29

    이러나저러나 결국 사람들은 실력겜 별로 안좋아하지. 운적요소가 더 줄어드는 격겜도 나날이 파이가 줄어드는데

    (Ekilu8)

  • 파이어니어 2025/11/12 23:32

    황밸이 좋냐 1황이 있는 게 좋냐 같은 데서도 현재 OCG가 지지고볶고 쌩쑈를 하다 우주의 기운이 절묘하게 맞았는가 10금은 꽤 군웅할거인 모양새인데 이런 상황은 의외로 그 티어겜 치열하게 하는 놈들한테 피로감 유발이 장난 아니고. 보기 좋은 모양새가 꼭 내부 인원의 만족도를 보장하진 못하는 거지.

    (Ekilu8)

  • 플라보노이드 2025/11/12 23:30

    뭐 어차피 일본 카드판은 포케카 원탑에 듀에마랑 유희왕이 시즌따라 엎치락하는 구도가 계속 될 걸. 원딱 드딱은 알아서 자폭했고

    (Ekilu8)

  • 익명-jQ3Njky 2025/11/12 23:31

    카드게임이 망하는건 상대가 없어서 망하죠
    플레시 앤 블러드 관심있었는데 한국에선 연명만 하고 있는 분위기고 롤 카드게임도 새로 나왔는데 별 반응도 없는 것 같고. 국산 인디 카드 게임에 이렇게 관심을 가져주는 분이 계시니 그나마 다행인 것 같네요

    (Ekilu8)

  • 지구폭팔 2025/11/12 23:33

    플앤블 일러스트 보고 한번 사ㅏ봤는데 국내정보가 거의없던 ㅋ

    (Ekilu8)

  • 파이어니어 2025/11/12 23:34

    플레시 앤 블러드는 연명만 한다기엔 원래 군소 카드겜이라 내부에선 국내에서 월드 투어급 이벤 열리는 게 꽤 고무적인 상황임...

    (Ekilu8)

  • 이세계 세가사원 2025/11/12 23:36

    저어는 루멘쪽 나올 때부터 자원봉사 강습회 담당 하고 있음니당 ㅋㅋㅋ

    (Ekilu8)

  • 지구폭팔 2025/11/12 23:32

    ㅁ결국 카드겜도 여타 다른 온라인 경쟁겜이랑 비슷하게 흥망상쇠의 길을 가는구나

    (Ekilu8)

  • 1357179511번 지구 2025/11/12 23:36

    포케카는 근데 연단위로 블록이라 절판된 후에 못 쓰게 되지 않나

    (Ekilu8)

  • 익명-jUzMDU1 2025/11/12 23:38

    어차피 포켓카는 실제 유저들도 있지만
    콜랙팅용으로 모으는사람들도 많아서 상관없을거임..
    일종의 굿즈역활을 대신하는거지

    (Ekilu8)

  • 이세계 세가사원 2025/11/12 23:38

    그렇죵
    그래서 수집이 더 메인이구요

    (Ekilu8)

  • 1357179511번 지구 2025/11/12 23:42

    난 그래서 9기가 코나미 최대의 실수이자 숙제라고 생각함
    8기는 기억하는 사람이 많을지 모르겠는데 인플레는 최소한으로 하되 특정 카드 파워만 독보적으로 세게 내서 몇달 해먹다가 금제로 죽이기 반복인 시기였음
    이것도 짜친 건 맞긴 한데 반대로 말하자면 금제를 적극적으로 써서 인플레 없이 지원이랑 판매량 둘 다 잡긴 한 시기
    대회 가는 사람이 아니면 재밌게 할 수 있는 시기였음
    근데 9기부터는 아예 인플레 자체를 엄청 돌리면서 10기 이후부터는 '묘지 발동 효과가 없는 함정은 못 쓰는 카드' 이런 공식도 만들고 하니까
    라이트 유저를 잡던 '간단한 룰'이라는 장점을 잃어버리고
    그렇게 되니까 엑스트라덱 시스템의 강화로 운 요소를 벗어났던 게임에서 다시 패 트랩이라는 운 요소로 회귀하는 등의 사건들이 생겼다고 봄

    (Ekilu8)

  • 나15 2025/11/12 23:40

    결국 카드게임의 '게임으로서의 방향성'보다는,
    카드게임으로 사람을 유입시키는 '미디어믹스를 통한 ip파워'가 카드게임의 명줄을 정하는게 되는건가.

    (Ekilu8)

  • StrangeTango 2025/11/12 23:41

    나는 하스도 마듀도 했었고 뭐 마듀는 지금도 하긴하네
    TCG자체에는 흥미가 꽤 있는데 오프라인 게임인거 자체가 너무 부담임; 컴퓨터로 할 수 있어야 하겠더라고... 건담 ㅈㄴ좋아하는데도 건담 TCG를 못하고 있으니

    (Ekilu8)

(Ekilu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