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과거 시험 답안지 제출시, 우측 하단에 인적사항을 작성하고 절취 후 접어서 밀봉 하므로 블라인드 채점 방식이었다. 2. 과거 시험의 소과, 대과 중에 여섯번 이상 장원을 한 사람은 율곡 이이가 유일무이하다. 3. 과거 시험의 문제 풀이는 경전의 인용을 통해 자신의 주장을 펼치게 되므로 공자왈, 맹자왈이 나온 이유이다. 4. 과거 시험을 위한 암기 단어장 같은 것이 있었다.
댓글
봄날에™2025/11/12 12:15
율곡 이이 선생이
천재라 불리는 이유를 잘 몰랐는데
장원 6번에 납득이 됨
아리스토텔레토비2025/11/12 12:35
실제론 장원 총 9번...
Hun2025/11/12 12:19
과거 시험은 따로 신체검사가 불필요할듯요
한양 사는 소수를 제외하면 전국 각지에서 호랑이를 피해 수십, 수백킬로의 산길을 걸어와야 하므로
율곡 이이 선생이
천재라 불리는 이유를 잘 몰랐는데
장원 6번에 납득이 됨
실제론 장원 총 9번...
과거 시험은 따로 신체검사가 불필요할듯요
한양 사는 소수를 제외하면 전국 각지에서 호랑이를 피해 수십, 수백킬로의 산길을 걸어와야 하므로
이건 뭐 체력 검증이 아니라
서바이벌 테스트 느낌일 듯 합니다~
지방 선비들은 목숨걸고 과거 응시 ㄷㄷㄷ
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
체력검증 기본이 국토종주...ㄷㄷㄷ
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ㄷ
부산에서 과거 보려면 14일간 거의 400km 걸어 가야함 ㄷㄷ