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5028152

(삼국지) 위촉오 실제 국력 비교


(삼국지) 위촉오 실제 국력 비교_1.jpg


(삼국지) 위촉오 실제 국력 비교_2.jpg


(삼국지) 위촉오 실제 국력 비교_3.jpg


(삼국지) 위촉오 실제 국력 비교_4.jpg


(삼국지) 위촉오 실제 국력 비교_5.jpg


(삼국지) 위촉오 실제 국력 비교_6.jpg


(삼국지) 위촉오 실제 국력 비교_7.jpg




(삼국지) 위촉오 실제 국력 비교_8.jpg


댓글
  • 익명-DI2Mzkw 2025/10/10 22:47

    파촉 들어가서 성공한 사람은 유방밖에 없음. 그것도 장량이 대전략 짠걸로 파촉 입구지방에 머무르며 전격전으로 삼진 빠르게 먹고 교두보를 마련해서 성공한거지 파촉 깊이 들어간 군주 중에 중원으로 나온 사람은 없었다.

  • 익명-DI2Mzkw 2025/10/10 22:47

    파촉 들어가서 성공한 사람은 유방밖에 없음. 그것도 장량이 대전략 짠걸로 파촉 입구지방에 머무르며 전격전으로 삼진 빠르게 먹고 교두보를 마련해서 성공한거지 파촉 깊이 들어간 군주 중에 중원으로 나온 사람은 없었다.

    (V6RfDp)

  • 돌격강등하트! 2025/10/10 22:49

    그래도 참기름 짜듯이 짜가지고 계속 위 치고 방어도 잘한거보면
    그냥 형주잃은게 컸던게 아닌가 생각이 듬

    (V6RfDp)

  • 진리는 라면 2025/10/10 22:51

    요즈음 관우가 까이는 이유도 유비쪽에서 이미 착실히 북벌 진행중인데 관우가 형주를 잃는 사태가 터져서 그런듯.

    (V6RfDp)

  • 익명-jUxMTk3 2025/10/10 22:52

    유방때랑 제갈량때가 다른이유가 그 사이에 있던 대지진으로 유방 때 썼던 한중서 위로 가는 가도가 막혀버린게 생겨서 북벌 난이도도 제갈량 때가 훨씬 힘들었다는 해석도 있던데
    대신 방어는 더 용이해지긴 했지만 진출난이도가 훨씬 올라갓다고

    (V6RfDp)

  • 익명-DUwMjUy 2025/10/10 22:52

    유방도 결국 관중 먹어서 소모전 버틴거지 초반에 삼진 빠르게 못 끝냈으면 택도 없었지

    (V6RfDp)

  • 전체주의자-8606656365 2025/10/10 22:52

    솔까 항우가 자살골을 많이 넣어서 성공한거 아닌가 싶은 생각도 있어

    (V6RfDp)

  • 도망쳐!!! 2025/10/10 22:48

    촉한은 산악지대에 숨어있는 인구도 꽤 있겠지만
    그걸 전부 파악하는 것도 힘들었을테고.

    (V6RfDp)

  • 칸유대위 2025/10/10 22:49

    촉이 통일하려면 오 차지하고 위랑 싸워야 비빌만 했음

    (V6RfDp)

  • 진리는 라면 2025/10/10 22:50

    근데 난 존버도 나름 나쁘지 않았다고 보긴함,
    물론 이데올로기나 건국신념을 따지면 세월이 흘러 내부결속이 약해지고, 북벌의 의지도 약해질 수도 있지만
    이후 벌어진 상황들 보면 나름 존버도 괜찮지 않았을까 싶음.

    (V6RfDp)

  • 진리는 라면 2025/10/10 22:52

    근데 역으로 생각하면 그렇게 자꾸 찔러대면서 내전까지 여러번 터졌는데도 버텨낸 위-진이 좀 무섭긴함,
    역시 전쟁의 기본은 생산력인가.

    (V6RfDp)

  • 커트 핸슨 2025/10/10 22:51

    그래서 제갈량이 그렇게 융중대를 추구 했지만 결과는 뭐...

    (V6RfDp)

  • 익명-DI1MzQx 2025/10/10 22:51

    가능한 사람이 딱 한 명 있었지. ㅈㅌㅇ 아조시. 그것도 중국 역사상 최강자 항우를 상대로ㅎㅎㅎ 물론 항우가 초딩마인드라 가능했던 거지만.

    (V6RfDp)

  • 왜사나 2025/10/10 22:53

    송나라 이후 강남 국력 생각하면 강남 땅 들고 촉이랑 연합까지 했는데도 밀린 오나라가 ㅂㅅ이라고 생각했었는데
    저 시절은 생각보다 강남 인구가 적었나보지

    (V6RfDp)

(V6RfD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