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머천국 코하비닷컴
https://cohabe.com/sisa/3771576

"모내기법"이 불러온 거대한 스노우볼


img/24/07/04/1907b2afaf1d1660.png


모내기법(이앙법)은 고려후기때 일부지역에서 시작되었고 조선후기가 되면 전국적으로 시행된다.


한반도는 고대서부터 조선시대까지 쭉 중농억상 정책이었다. 이건 다른 이유가 아니라


그냥 논농사에는 어마어마한 노동력이 필요했고 이 인원들이 다른데로 빠져버리면 먹을 밥이 없어지니까 라는 이유가 가장 컸다.



그런데 모내기법이 시작되면서 상황은 완전히 달라진다. 모내기법을 시행함으로 생기는 장점을 살펴보자면


1. 노동력 소요가 직파법의 1/5수준으로 줄어듬 (논농사는 잡초정리가 중요한데, 모내기법으로 하면 잡초정리가 용이해짐)


2. 생산량은 두배가 됨


3. 벼-보리 이모작이 가능하게됨(이전에는 보리와 벼의 재배기간이 겹치는부분이 있어 할수없었다)




img/24/07/04/1907b30cd61d1660.jpg


이때 시기 조선의 농민들은 대다수가 소작농이었다. 근데 노동력이 이젠 조금만있어도 된다-> 


대다수 농민들이 강제로 농업의 결박으로부터 풀려나게 된다.


예를 들어 100명이 경작하는 땅이 있었다면 이제 80명은 필요없게되었고 그들은 실업자가 된것이다.



실업자가 되면 그대로 굶어죽어야하나? 아니다. 그들은 제 살길을 찾아나서기 시작하는데


어떤이는 수공업자가 되고 어떤이는 상인이되고 어떤이는 임노동자(임금받고일하는)가 되고 어떤이는 광산노동자가된다.


수공업과 광산업의 발달은 상업의 발달을 가져온다.



땅에 남아있는 20명의 농민들도 마찬가지다. 그들은 생산량의 증대로 수확하는 쌀을 모두 자급자족으로 소모할수없게되었고


이제 세상에는 쌀을 사먹어야하는사람들이 넘치니(위에 80명) 쌀이 잘 팔린다.


농작물이 잘팔리는것을 보고 상품작물들(인삼,마늘,파,담배)도 더 적극적으로 재배하게된다.


상업은 점점 더 발전하고 그 이전까지 유통만됐지 상용화가 도통되지않던 화폐(엽전)가 빠르게 상용화되고


전국 곳곳에 거상들과 부농들, 수공업장인들이 출현했다.



물론 이 모든것이 모내기법 하나만의 영향은 아니다. 당시 여러가지 국가정책들도 한몫했지만


어쨌든 모내기법이 불러온 영향력이(더이상 대다수인구가 농업에 종사하지않아도되는) 굉장히 컸다고 볼수있다.


이러한 결과를 국내사학자들은 상업자본주의와 근대화의 태동이라고 주장하는데


일본의 식민지근대화론에 적극적으로 맞서는 주장이기도하다.




댓글
  • 멧쥐은하 2024/07/04 10:04

    뿌리가 약해서 지하수를 못빨아들이니까 가뭄에 약했고 그래서 물이 더 많이필요했대. 그래서 저수지와 보가 이 시기에 확늘어남.

  • 리프트본 2024/07/04 10:02

    물 없을 떄 모내기법 써버리면 혼자 물 다 빨아먹는거라 금지시키던 거였던가?

  • 鶏胸肉 2024/07/04 10:09

    뭐 요즘은 사장되고 있는 학설이라더군. 거의 판타지 수준. 근거가 없음

  • 루리웹-4102060701 2024/07/04 10:09

    그래서 내가 배우던 교과서에는 조선 후기 이앙법(모내기)를 국가(조선)에서 금지하였다는 내용이 있었음.
    100명이 하던 걸 5명이서 하게 되면 나머지 95명은 뭘 해? 현재 같은 산업사회에서야 다른 일을 하면 된다 하겠지만 그 당시 사회에선 할 일을 만들기도 어려웠고 당사자도 그걸 원하지 않았음.
    본인들은 고정된 땅을 농사짓는 농민의 신분에서 다른 (날품팔이) 노동자가 되는 것을 신분 하락으로 아마 여겼을 거임.

  • 종이빨대싫어 2024/07/04 10:07

    조선 후기 민속화에서 평범한 농민들도 철제 농기구 풀세트에 새참먹는데 백자나 놋그릇에 담아먹던게 그만큼 생산력이 펌핑이 되서 그런거구나


  • 리프트본
    2024/07/04 10:02

    물 없을 떄 모내기법 써버리면 혼자 물 다 빨아먹는거라 금지시키던 거였던가?

    (GJDuFL)


  • 멧쥐은하
    2024/07/04 10:04

    뿌리가 약해서 지하수를 못빨아들이니까 가뭄에 약했고 그래서 물이 더 많이필요했대. 그래서 저수지와 보가 이 시기에 확늘어남.

    (GJDuFL)


  • Oret
    2024/07/04 10:11

    직파하면 물이 그렇게 많이 필요없슴. 발아하면서 땅에 적응한거라 가물어도 살수있슴. 하지만 뿌리벌기가 잘안됨. 모내기 하면 뿌리를 한번 뽑았다 심는거라 물이 없으면 바로 죽음. 그리고 적응기 까지는 항상 물이 있어야 함. 그후에 뿌리벌기 하면서 수확량이 엄청나게 늘어남

    (GJDuFL)


  • 종이빨대싫어
    2024/07/04 10:07

    조선 후기 민속화에서 평범한 농민들도 철제 농기구 풀세트에 새참먹는데 백자나 놋그릇에 담아먹던게 그만큼 생산력이 펌핑이 되서 그런거구나

    (GJDuFL)


  • 鶏胸肉
    2024/07/04 10:09

    뭐 요즘은 사장되고 있는 학설이라더군. 거의 판타지 수준. 근거가 없음

    (GJDuFL)


  • 鶏胸肉
    2024/07/04 10:10

    걍 마르크스 유물론의 자본주의 조건에 조선 후기를 끼워맞춘 곡학아세형 주장. 나라마다 다 사회상이 달랐는데 서구식 유물론을 가져다 박아서 조선이 봉건사회였는지 자본주의 사회였는지 규정하려고 드니 맞을 리가 있나... 그 러시아조차도 이론이랑 현실이 하나도 안 맞았는데

    (GJDuFL)


  • 루리웹-4102060701
    2024/07/04 10:09

    그래서 내가 배우던 교과서에는 조선 후기 이앙법(모내기)를 국가(조선)에서 금지하였다는 내용이 있었음.
    100명이 하던 걸 5명이서 하게 되면 나머지 95명은 뭘 해? 현재 같은 산업사회에서야 다른 일을 하면 된다 하겠지만 그 당시 사회에선 할 일을 만들기도 어려웠고 당사자도 그걸 원하지 않았음.
    본인들은 고정된 땅을 농사짓는 농민의 신분에서 다른 (날품팔이) 노동자가 되는 것을 신분 하락으로 아마 여겼을 거임.

    (GJDuFL)

(GJDuFL)